E(환경)
보고 범위
지표의 연도별 대상 법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 2022년 : 포스코, 일관밀 3개사
· 포스코, PT. KRAKATAU POSCO, POSCO YAMATO VINA, 포스코장가항불수강
- 2023년 : 포스코, 일관밀 3개사, 재압연밀 2개사
· 포스코, PT. KRAKATAU POSCO, POSCO YAMATO VINA, 포스코장가항불수강, POSCO-Maharashtra(추가), POSCO Thainox(추가)
- 2024년 : 포스코, 일관밀 3개사, 재압연밀 4개사, 가공센터 4개사
· 포스코, PT. KRAKATAU POSCO, POSCO YAMATO VINA, 포스코장가항불수강, POSCO-Maharashtra, POSCO Thainox,
POSCO-Mexico(추가), POSCO-Vietnam(추가), POSCO-CSPC(추가), POSCO-CFPC(추가), POSCO-MPPC(추가), POSCO India PC(추가)
국내사업장
온실가스
온실가스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직/간접 배출량(Scope 1&2) 1) | tCO2e | 70,185,623 | 71,971,900 | 71,065,170 |
직접 배출(Scope 1) | tCO2e | 68,305,993 | 70,588,012 | 69,665,353 |
간접 배출(Scope 2) | tCO2e | 1,879,630 | 1,383,895 | 1,399,825 |
직/간접 배출량 집약도(조강생산량 기준, Scope 1&2) | tCO2e/ton | 2.05 | 2.02 | 2.03 |
기타간접 배출량(Scope 3) 2) | tCO2e | 7,107,502 | 7,419,787 | 7,216,788 |
기타간접 배출량(Scope 3, 업스트림) | tCO2e | 4,570,474 | 5,229,508 | 5,054,941 |
구매한 제품&서비스 ① | tCO2e | 2,583,823 | 2,764,127 | 2,170,214 |
자본재 투자 및 구매 ② | tCO2e | 857 | 563 | 939 |
Scope 1&2에 포함되지 않은 연료 및 에너지 관련 활동 ③ | tCO2e | 298,540 | 334,942 | 735,200 |
원부자재 운송 ④ | tCO2e | 1,537,143 | 1,926,052 | 1,949,126 |
사업장에서 발생된 폐기물 ⑤ | tCO2e | 141,520 | 195,608 | 189,643 |
구성원 출장 | tCO2e | 346 | 486 | 1,895 |
구성원 통근 | tCO2e | 8,245 | 7,730 | 7,924 |
기타간접 배출량(Scope 3, 다운스트림) | tCO2e | 2,537,028 | 2,190,279 | 2,161,846 |
운송&유통 ⑥ | tCO2e | 489,786 | 26,936 | 28,695 |
임대자산 ⑦ | tCO2e | 1,888,240 | 1,974,893 | 1,935,128 |
다운스트림 투자 | tCO2e | 159,002 | 188,450 | 198,023 |
2) 산정 경계 : 2022, 2023년 포항·광양제철소, 2024년 전 사업장 기준
① 구매 제품 중 철강제품 생산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입 원료로 한정(사용 비중이 90% 이상 차지하는 철광석, 석탄, 석회석)
② 2024년 포스코 자산 취득 기준 사업장 비품 및 차량 중 한국 환경성적표지 인증제품 탄소발자국을 활용하여 일부에 대해 산정
③ 사업장 사용 에너지에 대해 환경산업기술원에서 발표한 환경성적표지 평가계수 중 탄소발자국을 활용하여 산정
④ ⑥ 물류 인도 조건(운송비 지급 기준)에 따른 일부 판매제품 운송배출량은 업스트림 운송에 포함되어 있음
⑤ 사업장 발생 폐기물 중 조직경계 外에서 위탁처리한 폐기물량으로 산정, 정부 폐기물관리시스템(올바로) 자료 활용
⑦ 임대자산 중 포스코퓨처엠이 임대하고 있는 석회소성공장의 Scope 1&2 배출량으로 산정
에너지
에너지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에너지 사용량 1) | GJ | 333,781,599 | 354,002,733 | 359,242,804 |
직접에너지 사용량 | GJ | 319,078,303 | 342,940,165 | 348,022,726 |
천연가스 | GJ | 30,750,384 | 45,697,279 | 60,987,933 |
부생가스 2) | GJ | 288,103,292 | 294,489,643 | 284,088,474 |
등유 | GJ | - | 2,643 | 2,050 |
휘발유 | GJ | 6,249 | 5,569 | 6,740 |
디젤 | GJ | 218,348 | 189,682 | 190,644 |
LPG | GJ | 30 | 0 | 0 |
프로판 | GJ | - | 5,377 | 5,452 |
기타 연료 2) | GJ | - | 2,549,972 | 2,741,433 |
간접에너지 사용량 3) | GJ | 14,703,073 | 11,062,333 | 11,219,131 |
전기 3) | GJ | 14,618,973 | 10,837,975 | 10,963,428 |
스팀 | GJ | 84,100 | 224,358 | 255,703 |
재생에너지 사용량 3) | GJ | 223 | 235 | 946 |
에너지 집약도(조강생산량 기준) | GJ/ton | 9.80 | 9.92 | 10.25 |
1)2022년 에너지사용량은 포항·광양제철소로 한정, 2023, 2024년은 전사 기준. 에너지사용량은 K-ETS 에너지 사용량 + 재생에너지 사용량 (재생에너지 구매량은 미포함)
2)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3년 데이터 조정
3)집계기준 변경(재생에너지 구매량 제외)에 따라 2023년 데이터 조정. 전력 및 재생에너지는 단위 환산계수 적용
환경 인증
환경 인증 | 단위 | 2022 | 2023 | 2024 |
---|---|---|---|---|
환경경영시스템 인증률 (ISO 14001) | % | 100 | 100 | 100 |
대상 사업장 수 | 개 | 2 | 2 | 2 |
취득 사업장 수 | 개 | 2 | 2 | 2 |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률 (ISO 50001) | % | 100 | 100 | 100 |
대상 사업장 수 | 개 | 2 | 2 | 2 |
취득 사업장 수 | 개 | 2 | 2 | 2 |
대기
대기 | 단위 | 2022 | 2023 | 2024 |
---|---|---|---|---|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1) | ton | 53,451 | 55,042 | 49,340 |
NOx | ton | 27,653 | 27,685 | 23,909 |
SOx | ton | 23,294 | 23,945 | 22,366 |
Dust | ton | 2,504 | 3,413 | 3,065 |
1)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폐기물
폐기물 | 단위 | 2022 | 2023 | 2024 |
---|---|---|---|---|
폐기물 발생량 | ton | 19,116,690 | 19,523,970 | 20,203,736 |
재활용 처리량 | ton | 18,787,157 | 19,242,999 | 19,951,274 |
소각 처리량 | ton | 62,031 | 52,034 | 55,216 |
매립 처리량 | ton | 267,470 | 228,633 | 197,074 |
기타 처리량 | ton | 32 | 304 | 171 |
지정폐기물 발생량 | ton | 96,579 | 108,491 | 106,581 |
재활용 처리량 | ton | 59,344 | 58,307 | 60,447 |
소각 처리량 | ton | 16,546 | 8,691 | 9,383 |
매립 처리량 | ton | 20,657 | 41,188 | 36,580 |
기타 처리량 | ton | 32 | 304 | 171 |
일반폐기물 발생량 | ton | 19,020,111 | 19,415,479 | 20,097,155 |
재활용 처리량 1) |
ton | 18,727,813 | 19,184,692 | 19,890,828 |
소각 처리량 | ton | 45,485 | 43,342 | 45,833 |
매립 처리량 | ton | 246,813 | 187,445 | 160,494 |
기타 처리량 | ton | 0 | 0 | 0 |
폐기물 발생량 집약도(조강생산량 기준) | ton/ton | 0.56 | 0.55 | 0.58 |
폐기물 재활용률 | % | 98.3 | 98.6 | 98.8 |
1)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상위항목 포함)
자원순환
자원순환 | 단위 | 2022 | 2023 | 2024 |
---|---|---|---|---|
고로슬래그 재활용량 1) | ton | 9,467,776 | 9,427,376 | 10,448,585 |
수재슬래그 재활용량 | ton | 8,612,812 | 8,141,470 | 9,381,494 |
괴재슬래그 재활용량 | ton | 854,964 | 1,285,906 | 1,067,091 |
1)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물
물(포항·광양)
물(포항·광양)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용수 취수량 | ton | 145,115,608 | 153,645,403 | 156,026,930 |
상수도 | ton | 0 | 0 | 0 |
지표수 | ton | 108,957,548 | 115,497,855 | 119,307,357 |
지하수 | ton | 3,451,420 | 4,154,290 | 4,556,880 |
해수담수화 용수 | ton | 3,608,003 | 5,044,618 | 2,992,678 |
시하수 재처리수 | ton | 29,098,637 | 28,948,640 | 29,170,015 |
용수 취수량 중 'High'인 지역에서의 취수량 1) | ton | 0 | 84,054,014 | 87,319,386 |
용수 취수량 중 'Extremely High'인 지역에서의 취수량 | ton | 0 | 0 | 0 |
용수 취수량 집약도(조강생산량 기준) | ton/ton | 4.20 | 4.31 | 4.45 |
용수 소비량 | ton | 73,375,512 | 72,416,383 | 71,802,801 |
용수 소비량 중 'High'인 지역에서의 소비량 2) | ton | 0 | 38,181,117 | 37,013,437 |
용수 소비량 중 'Extremely High'인 지역에서의 소비량 | ton | 0 | 0 | 0 |
폐수 방류량 | ton | 71,740,096 | 81,229,020 | 84,224,129 |
용수 재사용량 | ton | 44,625,210 | 40,390,660 | 37,206,622 |
용수 재사용률 | % | 23.5 | 20.8 | 19.3 |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3) | ||||
BOD | ton | 191.114 | 203.841 | 193.728 |
T-N 4) | ton | 684.976 | 668.257 | 879.314 |
T-P | ton | 3.827 | 2.073 | 5.717 |
SS 4) | ton | 134.747 | 134.238 | 160.598 |
TOC 5) | ton | - | 288.780 | 343.460 |
1)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3년 데이터 조정
2)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3년 데이터 조정
3)2024년 데이터는 환경부 검증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4)직전년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 이후 확정값(환경부)으로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
5)물환경보전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유기물질 측정지표 전환(COD→TOC) 및 TMS 측정기기 교체로 2022년 TOC 실적 활용 불가(WEMS 기준 COD 배출량: 580.391 ton)
물(포항)
물(포항)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용수 취수량 | ton | - | 69,591,389 | 68,707,544 |
상수도 | ton | - | 0 | 0 |
지표수 | ton | - | 36,488,459 | 34,980,649 |
지하수 | ton | - | 4,154,290 | 4,556,880 |
해수담수 | ton | - | 0 | 0 |
시하수 재처리수 | ton | - | 28,948,640 | 29,170,015 |
용수 취수량 중 'High'인 지역에서의 취수량 | ton | - | 0 | 0 |
용수 취수량 중 'Extremely High'인 지역에서의 취수량 | ton | - | 0 | 0 |
용수 취수량 집약도(조강생산량 기준) | ton/ton | - | 4.79 | 5.13 |
용수 소비량 | ton | - | 34,235,266 | 34,789,364 |
용수 소비량 중 'High'인 지역에서의 소비량 | ton | - | 0 | 0 |
용수 소비량 중 'Extremely High'인 지역에서의 소비량 | ton | - | 0 | 0 |
용수 재사용량 | ton | - | 19,516,566 | 20,398,928 |
용수 재사용률 | % | - | 21.9 | 22.9 |
물(광양)
물(광양) | 단위 | 2022 | 2023 | 2024 |
---|---|---|---|---|
용수 취수량 | ton | - | 84,054,014 | 87,319,386 |
상수도 | ton | - | 0 | 0 |
지표수 | ton | - | 79,009,396 | 84,326,708 |
지하수 | ton | - | 0 | 0 |
해수담수 | ton | - | 5,044,618 | 2,992,678 |
시하수 재처리수 | ton | - | 0 | 0 |
용수 취수량 중 'High'인 지역에서의 취수량 | ton | - | 84,054,014 | 87,319,386 |
용수 취수량 중 'Extremely High'인 지역에서의 취수량 | ton | - | 0 | 0 |
용수 취수량 집약도(조강생산량 기준) | ton/ton | - | 3.98 | 4.03 |
용수 소비량 | ton | - | 38,181,117 | 37,013,437 |
용수 소비량 중 'High'인 지역에서의 소비량 1) | ton | - | 38,181,117 | 37,013,437 |
용수 소비량 중 'Extremely High'인 지역에서의 소비량 | ton | - | 0 | 0 |
용수 재사용량 | ton | - | 20,874,094 | 16,807,694 |
용수 재사용률 | % | - | 19.9 | 16.1 |
1)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3년 데이터 조정
환경관리
환경관리 | 단위 | 2022 | 2023 | 2024 |
---|---|---|---|---|
환경 법규 위반 건수 1) | 건 | 9 | 8 | 12 |
환경친화적 차량 보유 비율 2) | % | 16.5 | 23.0 | 24.5 |
환경친화적 차량 보유 대 수 | 대 | 114 | 168 | 185 |
전체 차량 대 수 | 대 | 690 | 735 | 754 |
1)집계오류 및 중복집계에 따라 2023년 데이터 조정
2)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 차량(중장비 제외)의 합이며, 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국내 및 해외 사업장
온실가스(국내외)
온실가스 1) | 단위 | 2022 | 2023 | 2024 | |||||
---|---|---|---|---|---|---|---|---|---|
포스코 | 일관밀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2)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가공센터 |
||
직/간접 배출량(Scope 1&2) | tCO2e | 70,185,623 | 8,412,126 | 71,971,900 | 8,383,419 | 315,115 | 71,065,170 | 8,174,071 | 581,439 |
직접 배출(Scope 1) | tCO2e | 68,305,993 | 7,153,995 | 70,588,012 | 7,015,365 | 129,747 | 69,665,353 | 6,806,052 | 290,866 |
간접 배출(Scope 2) | tCO2e | 1,879,630 | 1,258,131 | 1,383,895 | 1,368,054 | 185,367 | 1,399,825 | 1,368,018 | 290,571 |
직/간접 배출량 집약도 3) (조강생산량 기준, Scope 1&2) |
tCO2e/ton | 2.05 | 1.90 | 2.02 | 1.97 | N/A | 2.03 | 1.93 | N/A |
1)해외법인의 2023, 2024년 배출량은 온실가스 검증기관의 3자 검증 미실시
2)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재압연밀의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3)재압연밀과 가공센터는 조강을 생산하지 않아, 집약도 값 산출 대상에서 제외
에너지(국내외)
에너지 1) | 단위 | 2022 | 2023 | 2024 | |||||
---|---|---|---|---|---|---|---|---|---|
포스코 | 일관밀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가공센터 |
||
에너지 사용량 | GJ | 333,781,599 | 38,794,427 | 354,002,733 | 38,163,868 | 3,486,048 | 359,242,804 | 37,671,934 | 7,303,823 |
직접에너지 사용량 | GJ | 319,078,303 | 31,169,983 | 342,940,165 | 31,325,501 | 2,309,057 | 348,022,726 | 30,274,830 | 4,950,872 |
석탄 2) | GJ | - | 455,618 | 0 | 578,042 | 0 | 0 | 489,121 | 0 |
천연가스 | GJ | 30,750,384 | 5,056,149 | 45,697,279 | 5,506,875 | 2,286,575 | 60,987,933 | 5,480,678 | 4,909,729 |
부생가스 | GJ | 288,103,292 | 25,479,428 | 294,489,643 | 25,067,682 | 0 | 284,088,474 | 24,110,656 | 0 |
등유 | GJ | - | - | 2,643 | 0 | 0 | 2,050 | 0 | 0 |
휘발유 | GJ | 6,249 | 0 | 5,569 | 0 | 162 | 6,740 | 0 | 5,515 |
디젤 | GJ | 218,348 | 177,131 | 189,682 | 171,830 | 19,483 | 190,644 | 192,350 | 29,302 |
LPG | GJ | 30 | 1,657 | 0 | 1,072 | 2,837 | 0 | 2,025 | 6,324 |
프로판 | GJ | - | - | 5,377 | 0 | 0 | 5,452 | 0 | 0 |
기타 연료 | GJ | - | - | 2,549,972 | 0 | 0 | 2,741,433 | 0 | 0 |
간접에너지 사용량 | GJ | 14,703,073 | 7,616,815 | 11,062,333 | 6,827,143 | 959,017 | 11,219,131 | 7,385,398 | 2,111,205 |
전기 | GJ | 14,618,973 | 6,227,476 | 10,837,975 | 5,734,501 | 959,017 | 10,963,428 | 6,044,814 | 1,871,476 |
스팀 | GJ | 84,100 | 1,389,339 | 224,358 | 1,092,642 | 0 | 255,703 | 1,340,584 | 239,728 |
재생에너지 사용량 | GJ | 223 | 7,629 | 235 | 11,224 | 217,974 | 946 | 11,706 | 241,747 |
에너지 집약도 3) (조강생산량 기준) | GJ/ton | 9.75 | 8.78 | 9.92 | 8.96 | N/A | 10.25 | 8.90 | N/A |
1)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2)철광석 환원제(원료)로 보고하며 원료는 에너지사용량 산정 제외
3)재압연밀과 가공센터는 조강을 생산하지 않아, 집약도 값 산출 대상에서 제외
환경 인증(국내외)
환경 인증 | 단위 | 2022 | 2023 | 2024 | |||||
---|---|---|---|---|---|---|---|---|---|
포스코 | 일관밀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가공센터 |
||
환경경영시스템 인증률 (ISO 14001) | %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93 |
대상 사업장 수 | 개 | 2 | 3 | 2 | 3 | 2 | 2 | 3 | 14 |
취득 사업장 수 | 개 | 2 | 3 | 2 | 3 | 2 | 2 | 3 | 13 |
대기(국내외)
대기 | 단위 | 2022 | 2023 | 2024 | |||||
---|---|---|---|---|---|---|---|---|---|
포스코 1) | 일관밀 | 포스코 1) | 일관밀 | 재압연밀 2)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가공센터 |
||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 ton | 53,451 | 13,081 | 55,042 | 13,376 | N/A | 49,340 | 12,700 | 465 |
NOx | ton | 27,653 | 6,539 | 27,685 | 6,607 | N/A | 23,909 | 6,204 | 369 |
SOx | ton | 23,294 | 4,548 | 23,945 | 4,736 | N/A | 22,366 | 4,808 | 11 |
Dust | ton | 2,504 | 1,994 | 3,413 | 2,031 | N/A | 3,065 | 1,688 | 84 |
1)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2)2023년 POSCO-Maharashtra, POSCO Thainox는 농도기준(ppm)으로 측정되어 미포함(국가별 법규 준수중)
폐기물(국내외)
폐기물 1) | 단위 | 2022 | 2023 | 2024 | |||||
---|---|---|---|---|---|---|---|---|---|
포스코 | 일관밀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가공센터 |
||
폐기물 발생량 | ton | 19,116,690 | 2,317,573 | 19,523,970 | 2,247,683 | 76,251 | 20,203,736 | 2,213,506 | 149,705 |
재활용 처리량 | ton | 18,787,157 | 2,298,264 | 19,242,999 | 2,223,646 | 62,450 | 19,951,274 | 2,196,635 | 131,080 |
소각 처리량 | ton | 62,031 | 4,764 | 52,034 | 5,112 | 256 | 55,216 | 5,243 | 2,526 |
매립 처리량 | ton | 267,470 | 16 | 228,633 | 0 | 2,590 | 197,074 | 0 | 4,592 |
기타 처리량 | ton | 32 | 14,516 | 304 | 18,926 | 10,955 | 171 | 11,628 | 11,507 |
지정폐기물 발생량 | ton | 96,579 | 434,360 | 108,491 | 464,957 | 65,126 | 106,581 | 496,674 | 71,466 |
재활용 처리량 | ton | 59,344 | 418,759 | 58,307 | 444,934 | 60,192 | 60,447 | 483,944 | 62,789 |
소각 처리량 | ton | 16,546 | 1,069 | 8,691 | 1,098 | 256 | 9,383 | 1,102 | 2,526 |
매립 처리량 | ton | 20,657 | 16 | 41,188 | 0 | 2,555 | 36,580 | 0 | 3,753 |
기타 처리량 | ton | 32 | 14,516 | 304 | 18,926 | 2,123 | 171 | 11,628 | 2,397 |
일반폐기물 발생량 | ton | 19,020,111 | 1,883,199 | 19,415,479 | 1,782,726 | 11,125 | 20,097,155 | 1,716,832 | 78,239 |
재활용 처리량 | ton | 18,727,813 | 1,879,505 | 19,184,692 | 1,778,712 | 2,257 | 19,890,828 | 1,712,691 | 68,291 |
소각 처리량 | ton | 45,485 | 3,695 | 43,342 | 4,014 | 0 | 45,833 | 4,141 | 0 |
매립 처리량 | ton | 246,813 | 0 | 187,445 | 0 | 36 | 160,494 | 0 | 840 |
기타 처리량 | ton | 0 | 0 | 0 | 0 | 8,832 | 0 | 0 | 9,110 |
폐기물 발생량 집약도 2) (조강생산량 기준) | ton/ton | 0.56 | 0.52 | 0.55 | 0.53 | N/A | 0.58 | 0.52 | N/A |
폐기물 재활용률 | % | 98.3 | 99.2 | 98.6 | 98.9 | 81.9 | 98.8 | 99.2 | 87.6 |
1)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2022, 2023년 데이터 조정(하위항목 포함)
2)재압연밀과 가공센터는 조강을 생산하지 않아, 집약도 값 산출 대상에서 제외
물(국내외)
물 | 단위 | 2022 | 2023 | 2024 | |||||
---|---|---|---|---|---|---|---|---|---|
포스코 | 일관밀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 포스코 | 일관밀 | 재압연밀 ·가공센터 |
||
용수 취수량 | ton | 145,115,608 | 13,708,923 | 153,645,403 | 15,115,560 | 2,051,931 | 156,026,930 | 14,794,159 | 3,405,962 |
상수도 | ton | 0 | 9,536,820 | 0 | 10,825,856 | 2,051,931 | 0 | 10,666,070 | 3,392,906 |
지표수 | ton | 108,957,548 | 4,172,103 | 115,497,855 | 4,289,704 | 0 | 119,307,357 | 4,128,089 | 0 |
지하수 | ton | 3,451,420 | 0 | 4,154,290 | 0 | 0 | 4,556,880 | 0 | 13,056 |
해수담수 | ton | 3,608,003 | 0 | 5,044,618 | 0 | 0 | 2,992,678 | 0 | 0 |
시하수 재처리수 | ton | 29,098,637 | 0 | 28,948,640 | 0 | 0 | 29,170,015 | 0 | 0 |
용수 취수량 중 'High'인 지역에서의 취수량 1) | ton | 0 | 0 | 84,054,014 | 9,685,311 | 518,177 | 87,319,386 | 9,395,856 | 646,033 |
용수 취수량 중 'Extremely High'인 지역에서의 취수량 | ton | 0 | 0 | 0 | 0 | 0 | 0 | 0 | 55,465 |
용수 취수량 집약도 2) (조강생산량 기준) | ton/ton | 4.24 | 3.10 | 4.31 | 3.55 | N/A | 4.45 | 3.49 | N/A |
용수 소비량 | ton | 73,375,512 | 10,036,479 | 72,416,383 | 11,355,436 | 1,697,599 | 71,802,801 | 10,720,508 | 2,484,642 |
용수 소비량 중 'High'인 지역에서의 소비량 3) | ton | 0 | 0 | 38,181,117 | 7,270,732 | 163,845 | 37,013,437 | 6,674,782 | 305,494 |
용수 소비량 중 'Extremely High'인 지역에서의 소비량 | ton | 0 | 0 | 0 | 0 | 0 | 0 | 0 | 51,902 |
폐수 방류량 | ton | 71,740,096 | 3,672,444 | 81,229,020 | 3,760,124 | 354,332 | 84,224,129 | 4,123,651 | 921,320 |
용수 재사용량 | ton | 44,625,210 | 1,796,870 | 40,390,660 | 1,669,314 | 750,455 | 37,206,622 | 1,948,296 | 1,173,019 |
용수 재사용률 | % | 23.5 | 11.6 | 20.8 | 9.9 | 26.8 | 19.3 | 11.6 | 25.6 |
1)일부 집계 오류에 따라 포스코의 2023년 데이터 조정
2)재압연밀과 가공센터는 조강을 생산하지 않아, 집약도 값 산출 대상에서 제외
3)집계방식 변경에 따라 포스코의 2023년 데이터 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