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관리
조직
공급망 관리 협의회
포스코는 그룹차원의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해 ‘그룹 공급망 관리 협의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포스코 구매투자본부장이 협의회 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그룹 사업회사 구매담당 임원이 참석해 공급망 전략, 이슈 및 리스크 관리방안 등을 논의하며 공동 대응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ㆍ참여 회사 : 포스코,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이앤씨, 포스코퓨처엠 등 11개사
ㆍ참석 대상 : 각 사업회사 구매부서 담당 임원
ㆍ회의 주기 : 연 1~2회 * 2024년 개최일 : 10월 15일
ㆍ활동 사항 : 그룹 공급망 ESG 관리 전략 수립 및 공동 대응
활동 내용
- 공급망 관리 전략 수립 : 그룹사 간 공급망 관리 전략을 조율하고 통합하여 공급망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을 수립합니다.
-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 : 공급망 내 잠재적 ESG 리스크를 식별하고 평가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수립합니다.
- 공급망 ESG 트렌드 공유 : 최신 공급망 관리 트렌드와 기법을 공유하여 공급망 관리 효율성을 제고합니다.
- 지속가능성 목표 설정 : 글로벌 ESG 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 교육 및 역량 강화 : 공급망 ESG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합니다.
- 그룹사 간 협력 : 그룹 공급망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향상을 위해 파트너십을 구축합니다.
- 공급망 ESG 성과 모니터링 및 보고 : 공급망 ESG의 성과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목표 달성 경과를 공유합니다.
운영현황
공급사 행동규범
포스코는 공급사 행동규범을 통해 포스코와 거래하는 공급사가 준수해야 할 기본원칙을 발표했습니다. RBA(Responsible Business Alliance) 행동규범과 포스코가 자체 규정한 항목 등 총 5개 영역(노동·안전보건·환경·윤리·경영시스템) 42개 규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동규범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위해 가이드라인도 배포하고 있습니다. 대외 공급망 ESG관리 고도화가 요구되면서, 포스코는 2024년부터 모든 거래 공급사를 대상으로 구매포털인 e-Procurement를 통해 행동규범 준수 동의서를 받고 있습니다.
공급사 행동규범 주요내용
ESG 구매 방침
포스코는 공급망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 공급망 ESG 구매 방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공정·투명·윤리경영의 실천
포스코와 거래를 희망하는 공급사는 상시로 공급사 등록신청을 할 수 있으며, 포스코는 공정 구매 정책에 따라 소싱그룹(구매품목군) 정보를 100% 공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당한 내부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거래심의위원회를 운영하여 공정구매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구매 실현
포스코는 해외 원료탄, 철광석 공급사 등과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원료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광물 채굴 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책임광물 관리 시스템 구축, ESG 리스크 관리, 내외부 이해관계자 소통 강화 등을 비롯하여 원료 공급사와 1:1 매칭 방식의 ‘GEM(Go Extra Mile) 펀드’를 조성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적 친화 기업을 우대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역량 강화
안정적인 공급망 조달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중소 공급사의 지속가능한 경영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중소 공급사와의 기술협력을 추진하고, 경영 활동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육 및 컨설팅 등을 통해 공급사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구매 경쟁력 강화
포스코는 환경, 품질, 물류 등 종합적인 비용을 고려한 최적가치 관점의 TCO(Total Cost of Ownership) 구매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강건한 공급망 구축을 위해 우수 공급사를 선발하여 우선 협상권 등 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사업 영향도와 조달 난이도를 기준으로 품목별 특성에 따른 구매전략을 추진하여 구매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
포스코는 공급망 내에서 환경, 인권 등의 이슈가 발생하지 않도록 공급사 등록 단계부터 계약 이행에 대한 성과평가 및 사후관리 단계까지 체계적인 ESG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급사 관리 프로세스
상시 리스크 관리
- ESG 리스크 관리 : 비윤리, 안전사고, 아동노동, 인권유린 등
- 공급 리스크 관리 : 등록기준 대비 신용등급 변화, 입찰 참가 실적 등 평가 후 사후 조치
Step 1. 신규공급사 등록
포스코는 구매 물품을 ‘소싱 그룹(Sourcing Group)’으로 관리합니다. 소싱 그룹별 공급사 등록 기준은 SteelN.com을 통해 상시 공개하며, 등록을 희망하는 공급사는 ‘공급사 행동규범’과 ‘윤리 특별약관’에 동의해야 합니다.
신규 공급사 등록 신청사에 대해서는 환경법규, 중대재해, 임금체불, 세금 납부 등에서 위반사항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신용등급, 재무능력, 공급능력 등의 기본 자격을 심사합니다. 이후 공급사의 현장을 방문하여 실태를 조사하고, 필요한 경우 품질테스트를 통해 품질 안정성을 확인합니다.
Step 2. 성과평가
포스코는 거래실적이 있는 모든 공급사를 대상으로 분기 또는 연간 단위로 공급사 성과 평가인 SRM 평가를 실시합니다. 평가 결과는 5개 등급으로 분류(Excellent, Good, Average, Weak, Poor)하여 평가 등급에 따라 차별화된 공급망 관리를 시행합니다.
2023년부터는 공급망 ESG 실사를 통해 환경·인권 등 공급망 ESG 리스크를 식별하고 개선하는 활동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Step 3. 사후관리
포스코는 분기 또는 연간 단위로 공급사의 성과 평가 보고서를 공급사에 제공하며 평가 결과에 따른 공급사의 강점과 약점을 피드백하고 개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평가 결과 Excellent 등급을 받은 공급사에게는 우선 협상권, 보증금 납부 면제 등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Poor 등급을 받은 공급사에는 자발적 개선을 촉구합니다. 만약 개선이 미흡할 경우에는 최소 3개월에서 최대 1년까지 입찰 참가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리스크 평가
포스코는 강건한 공급망 체계를 구축하고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등록된 공급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안전 등의 ESG 이슈가 있는 공급사와는 거래를 중단하는 등 제재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소싱그룹 등록 기준 대비 신용등급이 미달되거나(B등급 미만) 최근 1년간 입찰 참가 실적 혹은 2년간 거래 실적이 없는 공급사는 등록을 취소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ESG 실사
포스코는 EU 공급망 실사지침과 글로벌 ESG 평가기관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2023년 ‘공급망 ESG 실사 프로세스’를 구축하였으며 2024년에는 고객, 평가기간 등 대외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행동규범을 개정하여 배포하였습니다.
2024년에는 3년 연속 거래실적이 있는 공급사 중 연간 5억원 이상 거래실적을 보유한 356개사를 실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331개사의 평가를 완료하였습니다. 서면실사 결과, ESG 고위험사 또는 전년도 현장실사 결과 ESG 열위사를 대상으로 제3자 평가기관과 협업하여 현장실사를 수행하는 등 공급망의 ESG 리스크 관리 활동을 실행하였습니다. 현장실사 후 확인된 공급사 개선 권고사항에 대해서는 전문컨설팅사의 1:1 솔루션 지원을 완료했습니다.
공급망 실사 프로세스
책임광물 관리
포스코는 OECD 실사 지침(OECD Due Diligence Guidance)에 따라 책임광물1) 정책 및 업무 프로세스를 수립하였으며, 책임 있는 광물 조달과 공급망 관리 강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신규 공급사 등록시 책임광물 정책 준수동의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원산지가 분쟁 및 고위험지역(Conflict-Affected and High-Risk Area, CAHRA)2)으로 확인될 경우 글로벌 제3자 인증인 RMAP(Responsible Minerals Assurance Process)를 받은 제련소와 거래하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 개발한 공급사·제련소용 설문조사 템플릿과 RMI(Responsible Minerals Initiative)에서 제공하는 CMRT, EMRT 작성을 의무화하여 공급망 정보를 파악하고 있으며, 위험성 평가를 통해 고위험군으로 선정된 공급사에 대해서는 리스크 대응 메커니즘에 따라 관리하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책임광물 관련 모든 활동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2021년부터 매년 책임광물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1)책임광물 : 인권침해, 환경파괴, 분쟁단체로의 자금유입 등의 이슈를 일으키지 않으며,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방식으로 채굴된 광물
2)콩고민주공화국 등 분쟁, 아동노동, 인권유린 등 사회적 윤리 리스크가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
책임광물 사용 현황
포스코는 분쟁광물(3TGs)인 주석, 텅스텐에 이어 2020년부터 광물 채굴 시 아동 노동 등 인권유린 문제가 있는 코발트까지 범위를 확대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포스코 분쟁 및 고위험지역에서 채굴되는 광물에 대해 RMAP 인증을 받은 제련소에서 생산된 원료만 구매하고 있습니다.
광물 | RMI 제련소 ID | 제련소명 | 원산지 | RMAP 인증 |
---|---|---|---|---|
Tin | CID001477 | PT Timah Tbk Kundur | 인도네시아 | 인증 |
Tin | CID001482 | PT Timah Tbk Mentok | 인도네시아 | 인증 |
Tin | CID001463 | PT Sariwiguna Binasentosa | 인도네시아 | 인증 |
Tungsten | CID002315 | Ganzhou Jiangwu Ferrotungsten Co., Ltd. | 중국 | 인증 |
책임광물 관리 프로세스
분쟁 및 고위험지역
고충처리 및 이의제기
책임광물 관련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책임광물 전용 이메일 계정을 통해 고충처리 및 이의제기 절차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별도 양식 없이 고충 또는 이의제기 내용을 이메일로 송부. responsiblemineral@posco.com)
공급사 등록, 성과평가 등과 관련한 다양한 문의와 고충에도 열린 자세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전담 직원을 운영하여 공급사의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있으며 전자구매시스템 ‘e-Procurement’ 내 ‘열린구매상담실’을 통해서도 공급사의 의견을 청취하고 피드백 하고 있습니다.
(구매부문 054-220-5000, 협력부문 054-220-7000)
지표 및 목표
공급망 관리 활동 실적
공급사 ESG 실사 현황
공급사 ESG 실사 지표
실사대상 | 실사완료 | 실사율 |
---|---|---|
356개사 | 331개사 | 93% |
공급망 ESG 실사 목표
공급사 성과평가 결과
구분 | 단위 | 2022 | 2023 | 2024 |
|
---|---|---|---|---|---|
거래 공급사 수 | 개 | 1,729 | 1,700 | 1,663 |
|
성과평가 결과 주요 등급별 공급사 수 | Excellent 등급 | 237 | 261 | 309 |
|
Poor 등급 | 3 | 1 | 1 |
||
Poor 등급 회사 중 개선활동 계획 수립 비율 | % | 100 | 100 | 100 | |
전년도 평가대비 평가 결과 개선 공급사 비율 | 77 | 86 | 83 |